군산 개정면 구 일본인농장 창고 = 시마타니 금고 / 등록문화재 제182호

호남평야의 쌀을 반출하기 위해 신작로(26번 국도)로 닦았다고 한다.
그 신작로 근처에 농장을 세웠고, 이렇게 금고 또한 만들었다.
흔히 보게 되는 어마어마한 현대식 금고와는 비교가 되지 않지만 일제강점기 시대를 감안하면 이 금고 혹은 창고 또한 어마어마하다.
그리고 창고 혹은 금고 가까운 곳의 문화재를 보면, 탐욕의 일제를 충분히 상상하고 남음이다.
탐욕스런 야수의 시커먼 뱃속이 궁금한가?
그러면 군산발산초등학교 뒤편으로 가보라.
그럼 일제의 약탈과 수탈에 혈안이 된 현장을 볼 수 있다.
#군산_개정면_구_일본인농장_창고 #사마타니_금고 #등록문화재_제182호 #군산 #군산발산초등학교

'세상 > 史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곤룡포  (0) 2025.03.06
황룡포  (0) 2025.02.07
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 / 보물 제346호  (0) 2024.10.29
환구단 황궁우 / 사적 제157호   (0) 2024.10.11
홍타이지 칼  (0) 2024.07.19
Posted by 㗢동죽竹
,

곤룡포

세상/史跡 2025. 3. 6. 17:24

곤룡포

곤룡포는 청나라 황제가 경사스러운 의례를 치룰 때 입던 옷이다.
경사의 예복 치고는 어두운 색깔이라 좀 당황했다.
하지만 황제나 왕이 일반적으로 입는 옷들의 화려함에 대한 편견이 아닐까 하는 내 자신의 성찰마저 느낌.
#곤룡포  #청_황실의_아침_심양_고궁 #청나라 #국립고궁박물관

Posted by 㗢동죽竹
,

황룡포

세상/史跡 2025. 2. 7. 17:00

황룡포

청나라 황제가 입던 옷.
황룡이란 이름처럼 아홉 마리 누런 용들이 꿈틀꿈틀거린다.
노란 옷 속에서.
그리고 설명서의 시기를 유추해서 옷의 주인공은 건륭제일까?
#황룡포  #청_황실의_아침_심양_고궁 #청나라 #국립고궁박물관

Posted by 㗢동죽竹
,

장가계 황룡동굴

황룡동굴은 1982년 한 농부에 의해 우연하게 발견된 석회암 용암 동굴이다.
누런 용이 잠룡이 되어 가끔 꿈틀꿈틀거리며 기지개 켰기 때문에 동굴이 뚫렸다고 상상하면 어느 한 곳 허투로 볼 수 없다.
하지만 마음이 끊임없이 머무는 것들은 석순과 종유석 그리고 석주이다.
닿을 듯 닿을 듯 닿지 못하는, 닿을 듯 닿을 듯 마침내 닿을 수 있는 사랑의 심상으로 보면 한없는 '사랑'과 '그리움'이 부풀어 온다.
물론 마음의 상상으로 봐야만 한다.
#장가계 #황룡동굴 #호남성 #중국

'세상 > 눈동자에 드리워진 세상의 한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가계대협곡  (0) 2025.01.09
장가계대협곡 유리다리  (0) 2024.12.04
무지개  (0) 2024.10.29
🫣  (0) 2024.08.26
사방치기  (0) 2024.08.09
Posted by 㗢동죽竹
,

장가계대협곡

장가계 천문산이나 천자산이 호연지기를 일으킨다면
장가계대협곡은 ‘포근’과 ‘평온’을 불러일으킨다.
포근은 산과 산이 감싸주고 평온은 감싸임 속으로 파고드는 잔잔한 유수 때문 아닐까?
#장가계대협곡 #중국 #호남성

'세상 > 눈동자에 드리워진 세상의 한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가계 황룡동굴  (0) 2025.01.17
장가계대협곡 유리다리  (0) 2024.12.04
무지개  (0) 2024.10.29
🫣  (0) 2024.08.26
사방치기  (0) 2024.08.09
Posted by 㗢동죽竹
,

프리다 칼로 레플리카 展

프리다 칼로, 그녀의 고통이 나에게로 전이되는 체험을 하는 전시회이다.
이런 걸 ‘공감‘이라 하지 않을까?
고통이 고스란히 전해져 온 몸이 떨렸다.😭😭😭
#프리다_칼로 #프리다_칼로_레플리카_전 #성남큐브미술관

Posted by 㗢동죽竹
,

장가계대협곡 유리다리

유리만 밟고 왔다갔다해봐도 티가 안남. 😩😩😩
#장가계_대협곡_유리다리 #중국 #호남성

'세상 > 눈동자에 드리워진 세상의 한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가계 황룡동굴  (0) 2025.01.17
장가계대협곡  (0) 2025.01.09
무지개  (0) 2024.10.29
🫣  (0) 2024.08.26
사방치기  (0) 2024.08.09
Posted by 㗢동죽竹
,

실록각 / 고영철

세상/書藝 2024. 11. 15. 23:48

실록각 / 고영철

태백산 사고의 실록각 현판이다.
조선 고종 때 봉화군수 고영철이 썼다.
이를 잘 알 수 있는 이유는 뒷면을 볼 수는 없지만 글쓴이와 시기가 남아있다고 한다.
#실록각_현판 #고영철 #태백산사고 #국립고궁박물관

'세상 > 書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륭제 어필 동순 시권  (0) 2024.11.07
유천遊天戱浭희경 / 추사 김정희  (0) 2024.07.12
전등사 / 해강 김규진  (0) 2024.06.14
선조 어필  (0) 2023.10.21
현종 어필  (0) 2023.06.13
Posted by 㗢동죽竹
,

유중권 이소제 합장묘

유중권 이소제는 유관순 열사의 어머니와 아버지.
아우네 장터에서 만세운동을 하다 순국하셨다.
유관순 생가에서 유관순열사기념관으로 가는 길가에 이들의 묘가 있다.
그의 차녀인 유관순 열사도 중요하지만, 덩그러니 있는 이들의 묘도 유심히 봤으면 좋겠다.
#유중권_이소제_합장묘 #천안 #아우네장터 

'세상 > 墓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운동가 유중무의 묘  (0) 2023.04.28
유관순열사초혼묘  (0) 2022.12.22
을강 전홍표 선생의 묘  (0) 2021.12.07
박차정 의사 묘소  (0) 2021.09.11
정약용선생묘  (0) 2021.07.20
Posted by 㗢동죽竹
,

건륭제 어필 동순 시권

중국 청나라의 건륭제가 심양으로 동순 갔을 때 쓴 칠언율시.
전성기의 끝물인 황제가 써서 그런지 가지 끝에 파르르 하며 흔들리는 나뭇잎 같은 글씨다.
#건륭제_어필_동순_시권 #청_황실의_아침_심양_고궁 #청나라 #국립고궁박물관

'세상 > 書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록각 / 고영철  (0) 2024.11.15
유천遊天戱浭희경 / 추사 김정희  (0) 2024.07.12
전등사 / 해강 김규진  (0) 2024.06.14
선조 어필  (0) 2023.10.21
현종 어필  (0) 2023.06.13
Posted by 㗢동죽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