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3밀양면만세운동 기념비
밀양 관아지의 우측에 기념비가 있다.
석정 윤세주는 스승인 을강 전홍표 선생과 의논한 후에 만세운동을 계획.
이곳에서 석정은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삼창했다.
시인 이육사의 시처럼 석정은 청포를 입고 이곳에 있었을까?
감히 엉뚱한 상상을 해본다.
#3_13밀양면만세운동_기념비 #밀양관아지 #밀양 #석정_윤세주 #을강_전홍표
3•13밀양면만세운동 기념비
밀양 관아지의 우측에 기념비가 있다.
석정 윤세주는 스승인 을강 전홍표 선생과 의논한 후에 만세운동을 계획.
이곳에서 석정은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삼창했다.
시인 이육사의 시처럼 석정은 청포를 입고 이곳에 있었을까?
감히 엉뚱한 상상을 해본다.
#3_13밀양면만세운동_기념비 #밀양관아지 #밀양 #석정_윤세주 #을강_전홍표
관음보살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관세음보살의 모습과 많이 다르다.
그건 앉아있는 자세-윤왕좌- 때문이다.
이 모습에 놀라 한동안 눈을 떼지 못 했다.
권위적인 자세와 자비로운 관세음보살 이미지의 괴리로 말이다.
그리고 어딘가에서 본 듯한 저 자세.
영화 ‘관상’에서 배우 이정재 님이 역할한 수양대군의 모습이었다.
관음과 수양의 이 괴리감에 입을 쩍 벌리고 바라만 보았다.
#관음보살 #윤왕좌 #국립중앙박물관
이슬람 양식 중국 백자 청화 주전자 (0) | 2022.01.06 |
---|---|
3•13밀양면만세운동 기념비 (0) | 2021.12.26 |
조상비 (2) | 2021.12.03 |
공덕비 (0) | 2021.11.02 |
박산향로 (0) | 2021.10.17 |
조상비
비석에 글자만 채워진 것만 보아서인지 이 조상비에 한동안 넋을 잃고 말았다.
종교적 측면보다 정보전달 측면에서 말이다.
흔히 비석을 봤을 때 마멸된 글자와 모르는 한자로 인해 얼마나 정보습득에 어려움이 많은가.
하지만 이 조상비에 생긴 형상은 보는 이에게 얼마나 쉽고 친절하게 정보를 주는가 말이다.
역시 메시지 전달은 텍스트보다는 이미지가 최고다.
이 조상비가 증거다.
#조상비 #국립중앙박물관
3•13밀양면만세운동 기념비 (0) | 2021.12.26 |
---|---|
관음보살 (0) | 2021.12.09 |
공덕비 (0) | 2021.11.02 |
박산향로 (0) | 2021.10.17 |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0) | 2021.10.04 |
공덕비
공덕비란 누군가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그 행적을 새긴 비석이다.
처음에는 진실로 백성들의 의지로 세워졌을 것이다.
하지만 후대에 들어 조병갑이라든지, 전두환이라든지 이런 사람들의 공덕비를 보노라면 모든 공덕비에 대해 의심의 눈초리를 지울 수 없다.
이런 생각이 지배적이어서 조선시대 최연소 과거급제자인 이건창의 공덕비-서울 송파에 있음-를 봐도 무심히 응시함.
때문에 밀양관아지 앞의 공덕비들도 무심히 보아진다.
아! 이 중에 진짜 백성들의 선의로 세워진 것 몇 개일까?
없을 수도 있겠지만. 😩😩😩
#공덕비 #밀양 #밀양관아지
관음보살 (0) | 2021.12.09 |
---|---|
조상비 (2) | 2021.12.03 |
박산향로 (0) | 2021.10.17 |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0) | 2021.10.04 |
을강 전홍표 생가지 (0) | 2021.10.01 |
박산향로
평양 석암리 9호 무덤에서 출토된 낙랑의 박산향로이다.
거북이를 밟고 서있는 봉황 한 마리.
그리고 그 봉황이 이고있는 박산이라 부르는 산악형 향로 몸통이 인상적이다.
박산 사이의 구멍으로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연기가 보고 싶지만, 상상에 맡겨야만 한다.
#박산향로 #평양_석암리_9호분 #낙랑 #국립중앙박물관
조상비 (2) | 2021.12.03 |
---|---|
공덕비 (0) | 2021.11.02 |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0) | 2021.10.04 |
을강 전홍표 생가지 (0) | 2021.10.01 |
관음보살상 (0) | 2021.09.28 |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국립중앙박물관이 전시한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복제품인 건 알지만, 눈을 뗄 수 없었다.
고구려 사신들이 쓴 새의 깃털로 만든 조우관과 환두대도 때문.
광야를 달리고달린 고구려인들의 기상이 마음을 흔든다.
#아프라시압_궁전_벽화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 #조우관 #환두대도
을강 전홍표 생가지
을강 전홍표 선생님 曰
“빼앗긴 국토를 다시 찾고 잃어버린 주권을 회복하기 전에는 언제나 슬프고 비참하다.
그러기에 우리의 목숨이 살아 있는 동안은 강도인 일본과의 투쟁을 한시도 게을리할 수 없다.
미래는 너희들의 것이다.
너희들이 분기하지 않고, 대체 누가 조국광복의 대업을 이룰 것이냐?”
이런 선생의 가르침을 받고 자란 사람들이 약산이고, 석정이며, 최수봉 그리고 김상윤 등이었다.
의열투쟁의 선봉장 의열단의 스승 을강 전홍표 선생의 생가지가 여기 있다.
#을강_전홍표_생가지 #밀양
박산향로 (0) | 2021.10.17 |
---|---|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0) | 2021.10.04 |
관음보살상 (0) | 2021.09.28 |
간다라 불상 (0) | 2021.09.21 |
고인덕 의사 생가터 (0) | 2021.09.09 |
관음보살상
이러한 관음보살상이 유럽인들의 눈엔 성모 마리아로 보였다고 한다.
나 또한 보는 즉시 법정스님이 계셨던 길상사의 관음보살상이 떠올랐다.
그래서 첨부.
공통점이 성모 마리아라면 대조점은 역시 ‘눈’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관음보살상은 설명서를 읽지 않아도 눈끝이 올라간, 딱 ‘중국인의 눈’이다.
반면 길상사의 보살님은 쌍커풀 지지 않은 보통 한국인의 눈 아닌가.
#관음보살상 #국립중앙박물관 #길상사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0) | 2021.10.04 |
---|---|
을강 전홍표 생가지 (0) | 2021.10.01 |
간다라 불상 (0) | 2021.09.21 |
고인덕 의사 생가터 (0) | 2021.09.09 |
여유당與猶堂 (0) | 2021.09.07 |
간다라 불상
간다라 미술은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원정👉그리스의 헬레니즘 문화 + 인도문화 + 대승불교 👉중국👉한국
그래서 결론으로 도출되는 경주 석굴암의 본존불과 이 불상들을 비교해 보니 무척 흥미롭다.
첫 번째 불상은 미륵이고 두 번째 불상은 보살.
석굴암 본존불이 부드러움이라면 이들은 예리하다.
또 미륵이 아레스로 보이고 보살은 디아나로 보이기도 한다.
뭐, 응시하는 사람의 마음대로의 해석이긴 하지만.
#간다라_불상 #간다라_미술 #간다라 #미륵 #보살 #국립중앙박물관
을강 전홍표 생가지 (0) | 2021.10.01 |
---|---|
관음보살상 (0) | 2021.09.28 |
고인덕 의사 생가터 (0) | 2021.09.09 |
여유당與猶堂 (0) | 2021.09.07 |
백민 황상규 선생 생가터 (0) | 2021.08.28 |
고인덕 의사 생가터
이곳 밀양 백민로7은 고인덕 의사의 생가터이다.
물론 밀양 사람이기 때문에 고향 선배 김대지의 비서였고, 동네 사람들과 의열단에 가입했으며, 밀양경찰서폭탄투척의거와 경북의열단사건에 활약했다.
하지만 경북의열단사건 이후 옥사-1926년-했기 때문에 그리 알려진 독립투사는 아니다.
만약 잡히지 않고 살았다면 황포군관학교를 졸업했을 테고, 부푼 가슴을 안고 북벌에 참여하지 않았을까?
4•12정변으로 피눈물을 흘렸을 테지만.
#고인덕_의사_생가터 #밀양 #의열단 #밀양경찰서폭탄투척의거 #경북의열단사건
관음보살상 (0) | 2021.09.28 |
---|---|
간다라 불상 (0) | 2021.09.21 |
여유당與猶堂 (0) | 2021.09.07 |
백민 황상규 선생 생가터 (0) | 2021.08.28 |
일봉 김대지 생가터 (0) | 202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