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痕跡'에 해당되는 글 142건

  1. 2025.04.11 대한매일신보
  2. 2024.10.25 석벽소동도 / 오력
  3. 2024.06.27 김알렉산드라
  4. 2024.05.22 자유공원 맥아더장군 동상
  5. 2024.05.14 해인사 / 겸재 정선
  6. 2024.04.19 북원기로회도 / 겸재 정선
  7. 2023.12.28 인천차이나타운
  8. 2023.10.03 업경대
  9. 2023.03.21 효嚆矢시
  10. 2023.03.10 '천명' 연호가 있는 운판

대한매일신보

세상/痕跡 2025. 4. 11. 17:27

대한매일신보

신민회의 참여자들이 발행했고, 베델이 사장이었다.
또한 논설진은 양기탁, 박은식, 신채호 등 당대 내로라하는 지식인들이었다.
하지만 흔히 알게 되는 건, 이 신문을 통해 싣게 된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
현재 이 앞의 대한매일신보에는 장지연의 글은 없지만-친일파잖아!-, 혹시나 단재의 글이 있었으면 좋겠다.
아니 한국통사를 쓰신 박은식 선생의 글이 있었으면 좋겠다.
아니, 양기탁 선생의 글도 있었으면 좋겠다.
뭐! 이렇게 희망고문(?)을 행복하게 하면 전신된 '대한매일신보'를 보고 있다.
#대한매일신보 #국립중앙박물관 #베델 #양기탁 #신채호 #박은식 

'세상 > 痕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벽소동도 / 오력  (0) 2024.10.25
김알렉산드라  (0) 2024.06.27
자유공원 맥아더장군 동상  (0) 2024.05.22
해인사 / 겸재 정선  (0) 2024.05.14
북원기로회도 / 겸재 정선  (0) 2024.04.19
Posted by 㗢동죽竹
,

석벽소동도 / 오력

이 그림을 그린 오력은 중국 청나라 초기 문인화의 화가이다.
후에 가톨릭에 귀의하여 사제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의 그림, 석벽소동도를 유심히 보라.
우측 정자에 앉아 좌측의 석벽을 대상으로 '면벽' 하기에 딱 좋은 풍경 아닌가.
#석벽소송도 #오력 #청_황실의_아침_심양_고궁 #청나라 

'세상 > 痕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매일신보  (0) 2025.04.11
김알렉산드라  (0) 2024.06.27
자유공원 맥아더장군 동상  (0) 2024.05.22
해인사 / 겸재 정선  (0) 2024.05.14
북원기로회도 / 겸재 정선  (0) 2024.04.19
Posted by 㗢동죽竹
,

김알렉산드라

세상/痕跡 2024. 6. 27. 15:27

"내 눈을 천으로 가리지 마라. 나는 죽음을 내 두 눈으로 똑똑히 보고 싶다."라고 말한 김알렉산드라의 주검은 아무르강에 던져졌다고 읽었다.
얼마전에 읽은 책에서.
이인섭의 회고록에 의한 것일 것이다
하지만 최근 OTT인 웨이브에서 본 역사저널 그날에서는 '죽음의 골짜기'가 그녀의 마지막 장소로 나옴.
그 장소에 더해 사망진단서까지 첨부하니, 아무르강보다는 구체적인 죽음의 골짜기가 설득력이 있다.
읽고 보고 또 읽고 보고, 기존의 지식을 언젠가는 죽여야 하는.....책보는 삶인가?
#김알렉산드라 #역사저널_그날 

'세상 > 痕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매일신보  (0) 2025.04.11
석벽소동도 / 오력  (0) 2024.10.25
자유공원 맥아더장군 동상  (0) 2024.05.22
해인사 / 겸재 정선  (0) 2024.05.14
북원기로회도 / 겸재 정선  (0) 2024.04.19
Posted by 㗢동죽竹
,

자유공원 맥아더장군 동상

철거니 뭐니 하도 시끄러워 그냥 관심 끊고 사진만 팡팡📸📷📸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히고설키어 찬반에 끼고 싶진 않지만, 역사적 관점에선 그냥 놔두는 게 낫지 않을까?
또한 오정희 작가의 중국인 거리에도 이 동상이 나오니 문학적 관점에서도 그냥 두는 게….
여하튼 중국인 거리의 주인공이 묻은 할머니의 유품은 어디 있을까?
맥아더의 그림자에 가려 영 보이지 않는다.😭😭😭
#자유공원_맥아더_장군_동상 #인천

'세상 > 痕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벽소동도 / 오력  (0) 2024.10.25
김알렉산드라  (0) 2024.06.27
해인사 / 겸재 정선  (0) 2024.05.14
북원기로회도 / 겸재 정선  (0) 2024.04.19
인천차이나타운  (0) 2023.12.28
Posted by 㗢동죽竹
,

해인사 /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로 유명한 겸재 정선이 부채 속에 가야산 품에 안긴 해인사를 그렸다.
그래서 부채를 살살 흔들면 절간의 향내음이 풍길 것 같다.
눈은 겸재 덕분에, 코는 부처님 덕분에 호강을 한다.
#해인사 #겸재_정선 #국립중앙박물관 #조선

'세상 > 痕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알렉산드라  (0) 2024.06.27
자유공원 맥아더장군 동상  (0) 2024.05.22
북원기로회도 / 겸재 정선  (0) 2024.04.19
인천차이나타운  (0) 2023.12.28
업경대  (0) 2023.10.03
Posted by 㗢동죽竹
,

북원기로회도 / 겸재 정선

북원기로회도北園耆老會圖는 일흔 넘은 퇴직 재상들의 잔치를 그린 그림이다.
건물 안 재상들과 밖의 노인들, 선비들 그리고 부인들이 아기자기하다.
#북원기로회도 #北園耆老會圖 #겸재_정선 #국립중앙박물관

'세상 > 痕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공원 맥아더장군 동상  (0) 2024.05.22
해인사 / 겸재 정선  (0) 2024.05.14
인천차이나타운  (0) 2023.12.28
업경대  (0) 2023.10.03
효嚆矢시  (0) 2023.03.21
Posted by 㗢동죽竹
,

인천차이나타운

세상/痕跡 2023. 12. 28. 15:47

인천차이나타운

개인적으로 차이나타운은 부산을 제일 먼저 가보았다.
하지만 그곳보다 더 크고 화려한 곳이 인천차이나타운.
또한 소설가 오정희 씨가 쓴 중국인 거리의 무대가 이곳, 인천차이나타운이니 문학적 의미도 더해진다.
따라서 소설 속 중국인 거리가 잿빛이라면 현재 차이나타운은 붉은빛이다.
미식과 문학 여기에 더해 역사까지 되새길 수 있는 곳, 인천차이나타운을 천천히 걸으며 되새김의 현장으로 추천한다.
#인천_차이나_타운 #중국인_거리 #오정희 #인천

'세상 > 痕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인사 / 겸재 정선  (0) 2024.05.14
북원기로회도 / 겸재 정선  (0) 2024.04.19
업경대  (0) 2023.10.03
효嚆矢시  (0) 2023.03.21
'천명' 연호가 있는 운판  (0) 2023.03.10
Posted by 㗢동죽竹
,

업경대

세상/痕跡 2023. 10. 3. 14:34

업경대

첫 번째 있는 업경대는 고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것.
두 번째 업경대는 첫 번째 업경대가 있기 전-과거에 찍은 사진-의 전시품.
고 이건희 회장의 유가족들의 기증으로 업그레이드(개선) 됐다.
먼저 업그레이드된 업경대에 관람자로서 기뻤고
다음은 죽은 자의 죄를 비추는 거울이므로 고 이건희 회장도 이 업경대 앞에 한번쯤 비춰봤을까 하고 궁금했다.
지금 비춰보고 있는 나처럼.
#업경대 #국립중앙박물관

'세상 > 痕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원기로회도 / 겸재 정선  (0) 2024.04.19
인천차이나타운  (0) 2023.12.28
효嚆矢시  (0) 2023.03.21
'천명' 연호가 있는 운판  (0) 2023.03.10
척화비  (0) 2022.12.01
Posted by 㗢동죽竹
,

효嚆矢시

세상/痕跡 2023. 3. 21. 14:32

효嚆矢시

보통 효시라는 의미는 세 번째 사진의 예처럼 '사물이 비롯된 맨 처음'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본래의 뜻은 우는 화살이며 전쟁을 시작할 때 개전의 신호로  적진에 쏘아 보냈다고 한다.
그 우는 화살의 비밀은 화살촉 끝에 뚫린 두 구멍인 것 같다.
피리처럼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가.
그곳을 통해 구슬피 우는가 보다, 무기인 화살조차 말이다.
#효시 #嚆矢 #국립고궁박물관 #청_황실의_아침_심양_고궁 

'세상 > 痕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차이나타운  (0) 2023.12.28
업경대  (0) 2023.10.03
'천명' 연호가 있는 운판  (0) 2023.03.10
척화비  (0) 2022.12.01
청와  (0) 2022.11.22
Posted by 㗢동죽竹
,

'천명' 연호가 있는 운판

운판은 청나라 초기 팔기군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도구이다.
즉, 한마디로 땡땡 치는 종으로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천명'은 청나라 태조 누르하치의 연호.
그래서 정리하면 누르하치 때 만들어진 전쟁용 종이다.
자세히 보면  ‘대금천명계해년주우장(大金天命癸亥年鑄牛莊)’과 ‘성(城)’이 새겨져 있고, 적군이 많을수록 여러 번 두드렸다고 한다.
#천명_연호가_있는_운판 #국립고궁박물관 #청_황실의_아침_심양_고궁 #청나라 #후금 #누르하치

'세상 > 痕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경대  (0) 2023.10.03
효嚆矢시  (0) 2023.03.21
척화비  (0) 2022.12.01
청와  (0) 2022.11.22
지봉유설 / 이수광  (0) 2022.11.20
Posted by 㗢동죽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