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 아리랑을 처음 읽게 된 시기는 2000년 즈음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내용은 잊어만 갔지만, 절대로 잊을 수 없는 건 내용을 읽으면서 솟구치는 '호기심'이었다.

그 호기심이란 이런 것이었다.

첫째, 우당 이회영 선생은 누구일까?

둘째, 우당 선생님이 따른 '아니키즘'은 무엇일까?

셋째, 약산 김원봉은 누구일까?

넷째, 약산이 이끈 '의열단'은 무엇일까?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 국정교과서로 역사를 배운 입장에서 이 호기심의 대상들은 한번도 본적도 없고, 들었던 적도 없었다.

이 작은 호기심과 궁금증으로 하나하나 찾게 되었다.

한마디로 이 소설이, 이 호기심이, 이 궁금증이  철학과 사회과학 그리고 역사로의 진입을 이끌었다.

그래서 소설가 조정래의 아리랑은 어쩌면 스승 같은 존재이다.

소설를 폄훼하는 건 아니지만 소설보다 더 수준 높은 독서를 이끌었기 때문이다.

 

물론, 현재에는 우당 이회영 선생도, 아니키즘도, 약산 김원봉도, 의열단도 많은 분들이 알게 되었다.

적어도 과거 이들의 정보조차 전혀 없었던 나에게는 반가울 뿐이다.

왜냐하면 그 정보들이 schema-배경지식-가 되어 읽는다면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노선과 인물들의 성격을 과거의 나보다는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책, 아리랑의 배경무대인 김제에는 '아리랑문학관'과 '아리랑문학마을'이 있다.

이 두 곳을 가본다면 다시 한 번, 이 책 '아리랑'을 다시 펴보고 싶을 것이다.

18년이 지나 다시 읽은 나처럼 말이다.

Posted by 㗢동죽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