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령총금관 / 보물 제338호

파르르 흔들리는 금관의 세細形형들 사이로 찬바람이 머물더라.
#금령총금관 #보물_제338호 #국립중앙박물관 #신라 #노동노서고분군

Posted by 㗢동죽竹
,

이광사 초상 / 신한평 / 보물 제1486호

원교 이광사, 연려실기술을 지은 이긍익의 아버지.
또한 해남 대흥사에서 추사와 초의의 에피소드 속 인물.
하지만 과천 추사박물관에서 본 그의 서첩과 초상의 괴리감에 한동안 멍하니 바라보기만 했다.
서첩이 버들잎 같다면 초상은 연잎 같아서.
어쨌든 그의 글씨가 있는 해남 대흥사에 갈 기회가 내게 오기를🙏🙏🙏
그러면 원교를 볼 수 있고 추사도 볼 수 있고 초의도 볼 수 있다.
또한 문프도 볼 수 있기에 대흥사 방문을 기원해 본다.
#이광사_초상 #신한평 #보물_제1486호 #국립중앙박물관 #조선

'세상 > 肖像'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몽주 초상  (0) 2022.06.14
쌍월당 대선사 진영 / 축연  (0) 2022.02.27
영조어진  (0) 2021.11.14
기허 영규 진영  (0) 2021.10.30
홍타이지 초상화  (0) 2021.03.23
Posted by 㗢동죽竹
,

일日沒몰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인다.
#일몰 #日沒

'세상 > 눈동자에 드리워진 세상의 한 가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을  (0) 2023.02.11
평온  (0) 2022.03.21
絞刑  (0) 2021.01.21
書서가架  (0) 2019.08.25
강아지풀  (2) 2019.08.22
Posted by 㗢동죽竹
,

2022년 임인년 맞이 호랑이 그림 I

교과서에서 익히 본 민화로써의 호랑이 그림.
이 익숙함에 간과할 수 없는 한 가지는 고 이건희 회장의 그림들을 공개한다는 점.
이 특별전시의 호랑이 그림의 대다수가 고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것.
작년 매진으로 인한 이건희 컬렉션을 보지 못한 나로서는 약간의 소망을 빌어 본다.
“좀 더 공개해 주세요!”라고.
누구에게?
호랑이님들에게. 🙏🙏🙏
#2022년_임인년_맞이_호랑이_그림_I #국립중앙박물관

'세상 > 藝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관순열사기념관  (0) 2022.11.10
MMCA이건희컬렉션 특별전 이중섭  (0) 2022.09.19
밀양독립운동기념관  (0) 2021.11.11
밀양시립박물관  (0) 2021.11.11
대성동고분박물관  (0) 2021.10.23
Posted by 㗢동죽竹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국보 제78호 / 국보 제83호

명칭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두 개 다 동일하다.
사유의 방에서 좌측-전자-이 국보 제78호이며, 우측-후자-이 국보 제83호.
국보 제78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반가사유상이다.
그리고 국보 제83호의 반가사유상의 뒷머리의 부리는 광배를 고정시키는 것이었다.
고로 광배가 사라진 반가사유상이여서 조금은 아쉬웠다.
여하튼 사유하는 미륵보살님들 앞에서 나만 ‘무사유’했다.
#사유의_방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_제78호 #국보_제83호 #국립중앙박물관

Posted by 㗢동죽竹
,

천진궁 현판 / 배수환

글쓴이가 같으니 근처에 있는 영남루의 침류각 현판과 대조하면 무척 흥미롭다.
전자가 낭창낭창하다면 이곳 천진궁 현판의 글씨는 듬직듬직하다.
몇 발자국만 걸으면 비교•대조가 가능하니 흥미롭게 지켜봤으면 좋겠다.
관심이 있다면 말이다.
#천진궁 #천진궁_현판 #배수환 #밀양 #영남루

'세상 > 書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랑사 / 성파 하동주  (0) 2022.04.09
정순문 현판 / 소전 손재형  (0) 2022.03.30
만덕문 현판 / 겸헌 박창화  (0) 2022.01.31
영남제일루 / 이증석  (0) 2022.01.01
장조 어필  (0) 2021.12.28
Posted by 㗢동죽竹
,

만덕문 현판 / 겸헌 박창화

만덕문은 밀양 영남루 앞에 있는 천진궁의 정문이다.
이 글씨를 쓴 사람은 성재 이시영의 비서인 겸헌 박창화 선생이다.

가만히 응시해 보라.
그러면 어둠에 갇힌 뭉게구름이 가기도 잘도 간다.
#만덕문 #만덕문_현판 #천진궁 #겸헌_박창화 #밀양_영남루

'세상 > 書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순문 현판 / 소전 손재형  (0) 2022.03.30
천진궁 현판 / 배수환  (0) 2022.02.01
영남제일루 / 이증석  (0) 2022.01.01
장조 어필  (0) 2021.12.28
현창관  (0) 2021.12.02
Posted by 㗢동죽竹
,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 보물 제329호

백제 6세기
절터에서 발견

나라가 멸망하고, 주민들은 사라졌지만, 부처만 남았다.
그래서 망국의 부처는 침묵만 하더라.
#부여_군수리_석조여래좌상 #보물_제329호 #백제 #국립중앙박물관

Posted by 㗢동죽竹
,

세발솥

세상/痕跡 2022. 1. 15. 00:47

세발솥

솥 혹은 鼎이 권력의 상징으로만 단순히 볼 것이다.
하지만 이 솥은 신라 석탈해 때 정복된 울산 부근 부족국가인 우시산국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라 한다.
또한 중국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것이라 한다.
어쨌거나 이 세발솥鼎으로 인해 우시산국이란 무명의 부족국가를 알게 됐다.
#세발솥 #鼎 #울산 #국립중앙박물관 #우시산국

'세상 > 痕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봉사 석조 약사여래 좌상  (0) 2022.08.05
못 신  (0) 2022.03.17
이슬람 양식 중국 백자 청화 주전자  (0) 2022.01.06
3•13밀양면만세운동 기념비  (0) 2021.12.26
관음보살  (0) 2021.12.09
Posted by 㗢동죽竹
,

영남루 / 보물 제147호

우리나라 3대 누각은 진주 촉석루, 평양 부벽루 그리고 이곳 밀양 영남루이다  
본 적 없는 부벽루는 제외하고 진주 촉석루에 비하면 정말 엔티크한 기운이 물씬물씬 풍긴다.
따라서 antique한 분위기로 인해 사람들의 접근을 막을 거 같지만 천만의 말씀이다.
누구든지 누각에 올라 엔티크한 분위기 속에서 산과 강 그리고 시내를  고즈넉하게 구경할 수 있다.
#영남루 #보물_제147호 #밀양 #우리나라_3대_누각

Posted by 㗢동죽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