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슬람 양식 중국 백자 청화 주전자
이슬람 상인들이 중국에 페르시아산 코발트를 제공.
중국 청화백자 탄생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가만히 응시 하노라면
심연의 청룡 한 마리가 순간 눈을 번쩍 뜨며 노려보고 있다.
#이슬람양식_중국백자청화주전자 #국립중앙박물관
이슬람 양식 중국 백자 청화 주전자
이슬람 상인들이 중국에 페르시아산 코발트를 제공.
중국 청화백자 탄생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가만히 응시 하노라면
심연의 청룡 한 마리가 순간 눈을 번쩍 뜨며 노려보고 있다.
#이슬람양식_중국백자청화주전자 #국립중앙박물관
영남제일루 / 이증석
밀양 영남루 안에 있는 ‘영남제일루’는 이증석 군이 11세 때 쓴 글씨이다.
동생인 현석 군이 7세 때 쓴 글씨 때문에 세인들의 관심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없지는 않지만 그래도 잘 쓴 글씨이다.
따라서 자랑삼을 의도로 나이와 이름을 저리도 명확하게 박아놨다.
#영남제일루 #이증석 #영남루 #밀양
천진궁 현판 / 배수환 (0) | 2022.02.01 |
---|---|
만덕문 현판 / 겸헌 박창화 (0) | 2022.01.31 |
장조 어필 (0) | 2021.12.28 |
현창관 (0) | 2021.12.02 |
강성여화 江城如畵 (0) | 2021.11.12 |
장조 어필
장조는 조선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이다.
그가 10세 무렵 쓴 글씨라 한다.
영조가 첩을 만들어 나누어 줄 정도면 이 무렵엔 나름 사도세자를 이뻐한 모양이다.
그러나저러나 설명서를 보라.
현륭원이라 써있다.
현륭원이면 사도세자의 묘 이름인데 현륭원으로 지칭하는 게 옳은지 모르겠다.
그래서 나는 후에 추존한 ‘장조’로 쓴다.
#장조_어필 #사도세자 #국립중앙박물관 #조선
만덕문 현판 / 겸헌 박창화 (0) | 2022.01.31 |
---|---|
영남제일루 / 이증석 (0) | 2022.01.01 |
현창관 (0) | 2021.12.02 |
강성여화 江城如畵 (0) | 2021.11.12 |
영남루 현판 / 이현석 (0) | 2021.11.09 |
신원사노사나불괘불탱 / 국보 제299호
노사나불이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조선 후기 인조때 그렸다.
부처님의 설법이 모든 중생들에게 진리로 닿길 바라며.
#신원사노사나불괘불탱 #국보_제299호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 보물 제329호 (0) | 2022.01.19 |
---|---|
영남루 / 보물 제147호 (0) | 2022.01.06 |
양헌수승전비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6호 (0) | 2021.12.21 |
백자 철채 뿔잔 / 보물 제1061호 (0) | 2021.12.18 |
김정희 종가 유물 / 보물 제547-1호 (0) | 2021.12.17 |
3•13밀양면만세운동 기념비
밀양 관아지의 우측에 기념비가 있다.
석정 윤세주는 스승인 을강 전홍표 선생과 의논한 후에 만세운동을 계획.
이곳에서 석정은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삼창했다.
시인 이육사의 시처럼 석정은 청포를 입고 이곳에 있었을까?
감히 엉뚱한 상상을 해본다.
#3_13밀양면만세운동_기념비 #밀양관아지 #밀양 #석정_윤세주 #을강_전홍표
양헌수승전비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6호
병인양요 당시 양헌수 장군의 승리를 기념한 비이다.
하지만 ‘비각에 갇힌’ 승전비는 대원위 대감의 쇄국정책 같아서 쓴웃음만 나왔다.
이유는 굳게 닫힌 비각에 대한 소박한 반항심이다.
여기저기 골똘히 보고 싶다, 승전비를.
#양헌수승전비 #인천광역시_기념물_제36호
영남루 / 보물 제147호 (0) | 2022.01.06 |
---|---|
신원사노사나불괘불탱 / 국보 제299호 (0) | 2021.12.26 |
백자 철채 뿔잔 / 보물 제1061호 (0) | 2021.12.18 |
김정희 종가 유물 / 보물 제547-1호 (0) | 2021.12.17 |
강화 정족산성진지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66호 (0) | 2021.12.16 |
백자 철채 뿔잔 / 보물 제1061호
소뿔을 형상화한 백자 뿔잔.
한 잔 마시고 술상에 놓지 못하고 계속 들고 있었을까?
아니면 뿔잔 고정대가 있었을까?
🤔🤔🤔🤔🤔🤔🤔🤔🤔
#백자_철채_뿔잔 #보물_제1061호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신원사노사나불괘불탱 / 국보 제299호 (0) | 2021.12.26 |
---|---|
양헌수승전비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6호 (0) | 2021.12.21 |
김정희 종가 유물 / 보물 제547-1호 (0) | 2021.12.17 |
강화 정족산성진지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66호 (0) | 2021.12.16 |
정족산사고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67호 (0) | 2021.12.12 |
김정희 종가 유물 / 보물 제547-1호
추사가 남긴 이 유물들은 충남 예산의 종가집에 소장되어 있었지만 국립중앙박물관에 기탁했다.
이런 이유로 다수의 문화재 관람객들에게 볼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
그가 사용한 벼루나 붓 그리고 인장 등에서 추사의 예술혼을 되새겨본다.
#김정희_종가_유물 #보물_제547_1호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양헌수승전비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6호 (0) | 2021.12.21 |
---|---|
백자 철채 뿔잔 / 보물 제1061호 (0) | 2021.12.18 |
강화 정족산성진지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66호 (0) | 2021.12.16 |
정족산사고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67호 (0) | 2021.12.12 |
강화 삼랑성 / 사적 제130호 (0) | 2021.11.25 |
강화 정족산성진지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66호
설명판을 읽다가 아연실색하고 말았다.😱😱😱
이 진지에 군사들이 주둔한 목적이 조선왕조실록과 왕실 족보를 보관한 ‘정족산사고를 수호’.
이 또한 조선이란 왕조의 한계 아닐까.
대한민국 헌법 5조 2항 ‘국군은 국가의 안전보장과 국토방위의 신성한 의무를 수행함을 사명으로 하며, 그 정치적 중립성은 준수된다.’와 비교하면 내가 말한 조선의 한계가 맞지 않나?
#강화_정족산성진지 #인천광역시_기념물_제66호
백자 철채 뿔잔 / 보물 제1061호 (0) | 2021.12.18 |
---|---|
김정희 종가 유물 / 보물 제547-1호 (0) | 2021.12.17 |
정족산사고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67호 (0) | 2021.12.12 |
강화 삼랑성 / 사적 제130호 (0) | 2021.11.25 |
밀양 관아지 /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270호 (0) | 2021.10.31 |
정족산사고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67호
17세기 마니산사고가 소실된 이후 이곳 정족산사고가 만들어졌다.
사고의 좌측인 장사각에는 조선왕조실록이, 우측인 선원보각에는 왕족의 족보가 보관되어 있었다.
지금은 다른 곳에 보관되어 있지만 문을 열고 들어서면 먼지 앉은 책들의 아우성(?)이 들릴 것만 같다.
읽어달라는 떼쓰는 아우성(!)이다.
#정족산사고 #인천광역시_기념물_제67호 #전등사 #강화도
김정희 종가 유물 / 보물 제547-1호 (0) | 2021.12.17 |
---|---|
강화 정족산성진지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66호 (0) | 2021.12.16 |
강화 삼랑성 / 사적 제130호 (0) | 2021.11.25 |
밀양 관아지 /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270호 (0) | 2021.10.31 |
대성동고분군 / 사적 제341호 (0) | 2021.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