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산 청룡사 명부전 현판 / 청파 김형윤

왼쪽의 낙관을 보고 석石坡파인줄 알았다.
얼핏 보면 돌석石인 거 같지 않은가.
이 착각에 가슴이 콩당콩당 뛰기까지🥺🥺🥺
하지만 이 현판의 주인공은 청靑坡파 김형윤.
독립운동가라고 하지만 경력이 검색되지 않는다.
어쨌든 글쓴이는 청파 김형윤이다.
#삼각산_청룡사 #명부전_현판 #청파_김형윤

'세상 > 書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유당 현판 / 다산 정약용  (0) 2021.05.26
한확 선생 신도비 / 임사홍  (0) 2021.05.19
경성전 현판 / 우죽 양진니  (1) 2021.05.09
연생전 현판 / 구당 여원구  (0) 2021.05.05
전출사표 / 고균 김옥균  (0) 2021.04.16
Posted by 㗢동죽竹
,

경성전 현판 / 우죽 양진니

우죽 양진니의 글씨는 처음 본다.
한국서예협회 이사장을 하신 분이라 한다.
뭐 그렇다고 한다.
#경성전_현판 #우죽_양진니 #경복궁

Posted by 㗢동죽竹
,

연생전 현판 / 구당 여원구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엔 완림군 이재원이 썼다고 한다.
하지만 일제감점기 훼손 후 구당 여원구가 다시 썼다고 한다.
그래서 단종의 비인 정순왕후 송씨가 머물던 절, 청룡사 현판과 이 연생전 현판 글씨는 비슷하다.
#연생전_현판 #구당_여원구 #경복궁

Posted by 㗢동죽竹
,

전출사표 / 고균 김옥균

번지르르한 글씨 또한 종이에 갇히고 말았다.
#전출사표 #고균_김옥균

Posted by 㗢동죽竹
,

비해당소상팔경시첩 中 김종서의 시 / 보물 제1405호

안평대군이 19명의 시문을 모았는데, 그중에 절재 김종서의 시이다.
흔히 그를 대호大虎라 불렀다.
그래서 유심히 이 시를 읽노라면 억새풀 속에 호랑이 한 마리가 웅크리고 있다.
금세 어흥하며 달려들 거 같이.
#비해당소상팔경시첩 #절재_김종서 #비해당_안평대군 #조선 #보물_제1405호

'세상 > 書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생전 현판 / 구당 여원구  (0) 2021.05.05
전출사표 / 고균 김옥균  (0) 2021.04.16
협길당 현판 / 동기창  (0) 2021.02.27
건청궁 현판 / 전영  (0) 2021.02.07
흥덕왕릉 비석 조각 / 요극일  (0) 2021.01.25
Posted by 㗢동죽竹
,

협길당 현판 / 동기창

명나라 말기 동기창의 글자를 집자해서 현판으로 삼았다.
그래서인지 昌창의 크기가 다른 거보다 작은 이유가 집자의 직접증거가 아닐까하고 한참 생각했다.
하지만 이 생각보다 더 특이한 점이 吉길이다.
보통의 吉보다 흙 토에 가까운 吉이 눈길을 끌었다.
#협길당_현판 #협길당 #경복궁 #동기창

Posted by 㗢동죽竹
,

건청궁 현판 / 전영

이 현판은 모조품이고 진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글쓴이는 전영, 18세기 청나라의 서예가이다.
그러나 이 건청궁 현판을 넘어서면 을미사변의 현장이다.
현판보다 더 비극적인 역사가 깃든 곳.
그래서 더 모조보다 진품이 더 걸려야 하지 않을까.
#건청궁_현판 #전영 #을미사변 #명성황후 #경복궁

Posted by 㗢동죽竹
,

흥덕왕릉 비석 조각 / 요극일

비석을 산산조각 낼 수는 있지만 정갈한 글씨는 조각조각 자르지 못 했다.
어쩌면 글씨의 주인공인 요극일도 글씨만큼 정갈하게 생기지 않았을까?
#흥덕왕릉_비석_조각 #요극일 #국립중앙박물관 #통일신라

Posted by 㗢동죽竹
,

일성 이준 열사의 묘 / 원세개 (위안스카이)

이준 열사의 묘 뒷편에 붙어있는 청나라 원세개의 글씨다.
난세의 기회주의자 같은 그의 삶만큼의 글씨 아닌가.
#일성_이준_열사의_묘 #원세개 #위안스카이 #북한산 #순례길 #삼각산

Posted by 㗢동죽竹
,

일성 이준 열사의 묘 / 고종 이희

이준 열사의 묘 뒷벽에 붙어있는 고종의 글과 글씨이다.
하지만 글씨보다 특이한 건 ‘수결’이다.
즉 사인이다.
고종 이희의 수결이 관심의 확장성을 이끌어냈다.
다음은 누구의 수결을 구경해 볼까.
#일성_이준_열사의_묘 #고종_이희 #수결 #조선 #북한산 #순례길 #삼각산

Posted by 㗢동죽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