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봉인사 사리장엄구 / 보물 제928호

원래 보물 제928호는 사리장엄구와 그 사리를 봉안한 불탑까지 포함한 것이다.
하지만 사리장엄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 탑은 봉인사에 있다.
남양주든 박물관이든 어느 한 곳에서 두 가지를 다 볼 수 있으면 좋겠지만 여건상 그럴 수는 없다.
여하튼 탑신 윗면 한가운데에 사리공이 있었고, 그 속에서 사리장엄구가 나왔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것저것 다 보물로 지정된 것이라 특별하겠지만, 금으로 만든 뚜껑이 있는 수정사리병-두 번째 사진 좌측-이 제일 특별하다.
아니 좀 더 솔직히 말하면 그 속에 있는 '사리' 다.
부처님의 사리라던데, 그 '사리' 보여주면 안 되나?
보고 싶다, 부처님 사리.
#남양주_봉인사_사리장엄구 #보물_제928호 #국립중앙박물관 #조선

Posted by 㗢동죽竹
,

고종비 명성황후 책봉 금보•금책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광무 1년,1897)하면서 이미 승하한 명성황후를 황후로 책봉하면서 만들었다.
금보는 도장이고 금책은 책봉 시, 금편에 새겨 엮은 문서이다.
명성황후의 금보와 금책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다.
#고종비_명성황후_책봉_금보_금책 #국립고궁박물관

Posted by 㗢동죽竹
,

순종황제어차 / 국가등록문화재 제318호

조선의 마지막 왕인 순종이 타던 자동차이며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다.
GM사가 1918년에 제작한 캐딜락 리무진으로 차체는 철재가 아닌 목재라 한다.
이 점이 궁금해서 만져서 확인하고 싶지만, 그래서는 안 된다. 😊😊😊
문화재니깐.
#순종황제어차 #국가등록문화재_제318호 #국립고궁박물관

Posted by 㗢동죽竹
,

순정황후어차 / 국가등록문화재 제319호

순정황후는 조선의 마지막 왕인 순종의 황후.
즉, 그녀가 탔던 자동차이다.
영국 다임러사가 제작한 리무진이며,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다.
#순정왕후_어차 #국가등록문화재_제319호 #국립고궁박물관

Posted by 㗢동죽竹
,

유관순열사 봉화지 / 사적 제230호

1919년 4월 1일 만세운동을 각지에 알리기 위해 전날, 3월 31일 밤에 유관순 열사는 이곳에서 봉화를 올렸다.
이 걸 시작으로 목천•천안•안성•청주 등 24곳에서도 봉화가 올랐다고 한다.
그래서 유관순 열사의 만세운동 시작점인 봉화지는 유관순열사유적지에서 생가로 사는 매봉산에 위치한다.
그리 높지 않은 곳에 있기 때문에 쉽게 올라갈 수 있다.
#유관순열사_봉화지 #사적_제230호 #천안 #병천

Posted by 㗢동죽竹
,

아우내3•1운동 독립사적지 / 충청남도 기념물 제58호

이곳은 3•1운동 당시 유관순 열사와 애국 시민들이 만세를 불렀던 곳이다.
놀라운 점
1. 협소한 장소
2. 기념비만 달랑 하나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의의에 젖어 충분히 고찰할 수 있는 장소이다.
#아우내31운동독립사적지 #충청남도_기념물_제58호 #천안 #병천 #유관순

Posted by 㗢동죽竹
,

추원재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59호

밀양 추원재는 점필재 김종직 선생 생가이다.
우리가 흔히 국사책에서 보는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로 이어지는 사림의 계보 중 김숙자 선생과 점필재 선생이 부자지간인 건 이곳에서 알았다.
조의제문 때문에 부관참시 당했만 역시 정치는 세력.
세력으로 인해 부관참시 당했고 세력으로 인해 터전은 영원하다.
#추원재 #김종직선생생가 #경상남도_문화재자료_제159호 #밀양 #무오사화

Posted by 㗢동죽竹
,

밀양읍성 / 경상남도 기념물 제167호

조선 성종 때 지어졌고 일제강점기엔 파괴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성을 많이 본 건 아니지만 고창읍성보다는 신식이고, 수원화성보다는 소규모다.
하지만 성 주위를 걷는 건 밀양읍성보다 고창읍성이 편하다.
또한 전경은 수원화성보다 밀양읍성이 낫다.
이유는 역시 밀양강 때문이다.
#밀양읍성 #경상남도_기념물_제167호 #밀양

Posted by 㗢동죽竹
,

홍무예제 / 보물 제1079호

홍무예제에서 홍무제는 명나라 초개 황제 ‘주원장’이다.
즉, 주원장 때 만들어진 예법을 기록한 예서가 홍무예제.
명나라 예서를 가져다 주구장창 쓴 거보면 세종대왕의 ‘나라 말씀이 중국과 달라 서로 통하지 않으니’라는 자주적•독창적 사상은 가히 천재적이라 할 만하다.
하지만 이 예서가 시사하는 건 사대주의의 방증 아닐까?
#홍무예제 #보물_제1079호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Posted by 㗢동죽竹
,

강화 전등사 약사전 / 보물 제179호

다포계 팔작지붕 때문에 보물이 된 거 같다.
하지만 문외한에겐 뭐가 뭔지 모르겠다.
그냥 그렇다.
#강화_전등사_약사전 #보물_제179호 #강화도

Posted by 㗢동죽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