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책을 대할 때
우리는 그 책에
어떤 사실들이 담겨 있는가에 관한 문제보다는
이 책을 쓴 역사가가 어떤 사람인가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역사란 무엇인가/E.H.카
과거의 사회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그리고 현재의 사회에 대한 통찰력을 증대시켜 주는 것,
이것이 역사의 이중적 기능입니다.
-역사란 무엇인가/E.H.카-
“모든 집단은
그 나름대로의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가치는 역사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모든 집단은 이질적이고 불편한 가치의 침입에 맞서 자기를 보호하기 위해
그 가치를 자본주의적이라든가 비민주적이라든가 전체주의적이라는 식의 무례한 형용사들을 갖다붙이곤 합니다.
좀 더 거친 표현을 빌리자면,
비영국적이라든가 비미국적이라는 식으로 낙인을 찍습니다.
사회나 역사로부터 유리된 추상적 기준과 가치는 추상적인 개인과 마찬가지로 환상에 불과할 뿐입니다.”
역사란 무엇인가?/E.H.카
역사가와 주제의 관계입니다.
역사가는 사실이라는 것의
힘없는 노예도 아니지만,
포악한 주인도 아닙니다.
역사가와 사실의 관계는
평등한 관계이며,
서로 주고받는 관계입니다.
역사란 무엇인가/E.H카
사실의 드넓은 바다 속에서
자신의 목적에 의미 있는 사실만을 건져내는 것처럼
다양한 원인과 결과의 무수한 연속 속에서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인과의 연속을,
아니 그것만을 건져내는 것입니다.
역사란 무엇인가/E.H.카”
'THE BOOK > 서가 속 영혼의 목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상고사/단재 신채호 (2) | 2014.10.08 |
---|---|
자유론/존 스튜어트 밀 (0) | 2014.10.05 |
아리랑/님 웨일즈 그리고 김산 (0) | 2014.09.13 |
The Book/오쇼 라즈니쉬 (0) | 2014.08.28 |
노무현 김정일의 246분/유시민 (0) | 201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