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은 정몽주는 고려말 사람으로, 단심가와 선죽교에서의 죽음이 유명하다.

그래서 이러한 유명한 것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것이 좋은 것 같다.

우선 공민왕 사후 우왕의 폐위와 공양왕 옹립할 때까진 역성혁명-왕조가 바뀌는 일-의 주인공들-이성계와 정도전 등-과 뜻을 같이 했다.

다만 역성혁명을 받아들이냐, 받아들이지 않느냐에 따라서

두 세력으로 나뉘게 된다.

급진개혁파로 불리우는 이성계와 정도전은 역성혁명을 받아들이는 무리이고, 온건개혁파로 대표되는 포은 정몽주는 받아들이지 않는 무리이다.

결국 급진개혁파와 온건개혁파와의 갈등에서 나온 것이 '정몽주의 단심가'이고 또 하나는 '이방원의 하여가'이다.

이 시와 답가를 통한 사건이 있는 후, 포은 정몽주는 이방원에게 죽임을 당한다.

그 죽임을 당한 곳이 곧 개성의 선죽교이다.

일반적인 역사적 사실은 여기까지 이야기하고, 내가 진정으로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단심가'이다.

즉, "단심가를 지은 사람은 누구인가?"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싶다.

그렇다면 두 단심가의 상황을 이야기하며 무엇이 상황과 단심가의 내용이 더 일치하는지를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우선 포은 정몽주의 단심가이다.

온건개혁파의 대표인 포은 정몽주와 급진걔혁파의 대표인 이성계 그리고 정도전 등이 역성혁명의 허용 유무에 따라 대립을 했다.

급진걔혁파인 이성계는 정몽주가 존재하는 한, 역성혁명의 꿈이 이루어질 수 없다고 생각한 듯 했다.

이러한 이성계의 뜻을 아들인 이방원이 눈치를 채고 포은 정몽주를 자신의 집으로 초대를 했다.

그리고 넌지시 시를 읊었다.

이것이 이방원의 하여가이다.

이 하여가로 정몽주의 마음을 알아보는 동시에 그를 회유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하지만 포은 정몽주는 이 하여가에 대한 답가로 단심가를 읊은 것이다.

단심가로 이방원은 포은의 마음을 바꿀 수 없다는 걸 알았을 것이다.

그래서 이방원의 부하인 조영규로 하여금 그를 죽이도록 지시한 것이다.

 

이제 또다른 단심가를 알아보자.

단재 신채호 선생님이 쓰신 조선상고사를 읽다보면 교과서에서 보고, 낭독했던 익숙하고 익숙한 시가 나온다.

포은 정몽주가 썼다고 우리가 알고있는  단심가이다.

그러나 단재 신채호 선생님이 쓰신 조선상고사에 나오는 단심가의 주인공은 고구려 안장왕이 사랑했던 한주이다.

 

 

우선 고구려 안장왕과 한주의 사랑 이야기는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춘향전과 이야기가 비슷하다.

그렇다면 안장왕과 한주의 이야기를 통해 어떻게 단심가가 나왔는지 살펴보자.

 

고구려 안장왕이 태자 시절 백제를 염탕하기 위해 개백현-지금의 경기도 고양시-에 오게 되었다.

그래서 백제군의 눈을 피하기 위해 숨은 곳이 곧 한주의 집이었다.

그는 곧 한주에게 반하여 연인이 되었다.

그리고 자신이 태자임을 고백하게 되었고,귀국 후 대군을 이끌고 와 개벽현을 점령하고 한주를 부인으로 맞이할 것을 약속하며 고구려로 돌아가고 말았다.

그 이후 개백현의 태수는 한주를 첩으로 삼기 위해 온갖 구실을 삼았지만, 한주는 연인이 있다는 이유로 거절한다.

이러한 태수의 한주에 대한 회유와 감언이설 그리고 옥에 가두는 일의 과정에서 태어난 것이 '단심가'이다.

쉽게 춘향전을 생각하면서 변사또에게 핍박을 받으며 지었다고 생각하는 게 편하다.

물론 춘향전처럼 고구려 태자 즉 훗날 안장왕은 한주가 죽게 될 무렵 이몽룡처럼 나타난다.

그리고 백제땅을 점령하고 그의 연인인 한주 또한 부인으로 맞이한다.

 

하나는 포은 정몽주와 이방원의 이야기, 또 하나는 고구려 안장왕과 한주의 이야기를 비교하면서 어떤 단심가가 둘 중의 이야기와 더 알맞은 건지 판단해 보시라.

나는 단심가의 말하는 주체가 여성적인 점과 사랑을 내포하는 내용을 보면 볼수록 혁명적인 사상의 정몽주보다는 한주와 더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역사 > 산책으로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암 정인홍  (0) 2018.12.12
임청각  (0) 2018.10.22
송강 정철 생가지  (0) 2018.10.11
남이 장군 집터  (0) 2018.10.10
정암 조광조 선생의 묘  (0) 2018.09.09
Posted by 㗢동죽竹
,